
안녕하세요. 한국어 겹받침 발음이 잘 정리된 자료가 있어서 공유합니다.
겹받침 | 단어 | 모음이 이어지는 단어 | 단어의 끝 또는 자음이 이어지는 단어 | 예외 적용 (exceptions) |
---|---|---|---|---|
ㄶ | 않- | 않아[아나] / 않은[안는] / 않을[아늘] / 않아서[아나서] / 않으며 [아느며]/ 않으면[아느면] / 않았다[아낟따] / 않았어요[아낟써요] / 않았나요[아난나요] 예시) 말하지 않아요 / 듣지 않았어요 / 다치지 않을 거예요 | 않다[안타] / 않고[안코] / 않기[안키] / 않게[안케] / 않는[안는] / 않도록[안토록] / 않습니다[안씀니다] 예시) 하지 않고 / 올라가지 않게 / 걸리지 않습니다 / 다치치 않기 위해 | – |
많- | 많이[마니] / 많은[마는] / 많았어요[마낟써요] / 많았습니다[마낟씀니다] 예시) 가장 많이 / 많은 동물 | 많다[만타] / 많거든[만커든] / 많다고[만타고] / 많지요[만치요] / 많지만[만치만] 예시) 친구가 많다 | – | |
잖- | 있잖아[읻자나] / 났잖아[낟자나] / 망가졌잖아[망가젿자나] / 하잖아[하자나] / 했잖아[핻자나] 예시) 누나 것도 있잖아 / 화가 났잖아 / 이야기 했잖아요 | 점잖다[점잔타] / 점잖게[점잔케] 예시) 점잖게 행동해 | – | |
찮- | 괜찮아[괜차나] / 괜찮을까[괜차늘까] 예시) 틀려도 괜찮아 | 괜찮다[괜찬타] / 괜찮고[괜찬코] / 괜찮겠지 [괜찬켇찌] 예시) 하루쯤은 괜찮겠지? | – | |
끊- | 끊어[끄너] / 끊은[끄는] / 끊을게[끄늘께] 예시) 줄을 끊어 | 끊다[끈타] / 끊고[끈코] / 끊지마[끈치마] 예시) 전화를 끊다 | – | |
ㅄ *예외) ‘값어치’, ‘값있는’은 모음 자리에 ‘ㅅ’이 아닌 대표받침 ‘ㅂ’이 올라가 발음함 | 없- | 없어[업써] / 없이[업씨] / 없었어[업썯써] / 없을[업쓸] / 없었거든[업썯꺼든] 예시) 놀 사람이 없어 심심했다 / 재미없을 것 같아 | 없다[업따] / 없게[업께] / 없나[엄나] / 없는[엄는] / 없지[업찌] 예시) 맛이 없다 / 없나 봐요 / 없게 될거야 / 관심이 없는 거야 | – |
엾- | 가엾은[가엽쓴] 예시) 가엾은 고양이 | 가엾다[가엽따] / 가엾지[가엽찌] 예시) 고양이가 가엾다 | – | |
값 | 값이[갑씨] / 값에[갑쎄] / 값은[갑쓴] / 값을[갑쓸] 예시) 값이 비싸요 | 값[갑] / 값과[갑꽈] 예시) 책값 | 값어치[가버치] / 값있는[가빈는] 예시) 값어치가 있어요 | |
ㄺ *예외) 동사, 형용사+’ㄱ’자음이 올 때는 앞자음인 ‘ㄹ’로 발음함 | 읽- | 읽어[일거]/ 읽은[일근] / 읽을[일글] / 읽으니[일그니] / 읽으며[일그며] / 읽으면[일그면] / 읽었어[일걷써] / 읽었는데[일건는데] / 읽었습니다[일걷씀니다] 예시) 읽어 봅시다 / 읽을 수 있어 | 읽다[익따] / 읽지[익찌] / 읽자[익짜] / 읽는[잉는] / 읽는다[잉는다] 예시) 책을 읽다 / 바꿔 읽자 / 띄어 읽지 않았어 | <동사+’ㄱ’ 자음> 읽고[일꼬] / 읽기[일끼] / 읽겠습니다[일껟씀니다] 예시) 읽고 느낀 점 / 쓰고 읽기 |
밝- | 밝아 [발가]/ 밝은[발근] / 밝아서[발가서] / 밝으면[발그면] 예시) 달이 밝아 / 밝은 미소 | 밝다[박따] / 밝지[박찌] 예시) 가로등이 밝다 | <형용사+’ㄱ’ 자음> 밝고[발꼬], 밝게[발께] 예시) 밝게 빛나는 별 | |
닭- | 닭이[달기] / 닭으로[달그로] 까닭이[까달기] / 까닭은[까달근] / 까닭을[까달글] 예시) 닭이 되었어요 까닭은 무엇인가요? | 닭[닥] / 암탉[암탁] / 닭장[닥짱] / 닭과[닥꽈] / 닭도[닥또] / 닭들을[닥뜨를] / 까닭과[까닥꽈] *명사+’ㄱ’자음은 대표받침 ‘ㄱ’ 그대로 발음합니다. 예시) 닭장 속에는 / 닭들을 팔아 | – | |
흙 | 흙이[흘기] / 흙에[흘게] / 흙을[흘글] / 흙으로[흘그로] / 찰흙으로[찰흘그로] 예시) 찰흙으로 만들었어요 | 흙[흑] / 흙과[흑꽈] / 흙도[흑또] / 흙까지[흑까지] *명사+’ㄱ’자음은 대표받침 ‘ㄱ’ 그대로 발음합니다. 예시) 흙 속에 | – | |
맑- | 맑아[말가] / 맑은[말근] 예시) 맑은 공기 | 맑다[막따] / 맑지만[막찌만] / 맑습니다[막씀니다] 예시) 날씨가 맑다 | <형용사+’ㄱ’ 자음> 맑고[말꼬] / 맑게[말께] / 맑거나[말꺼나] 예시) 하늘이 맑고 | |
굵- | 굵어[굴거] / 굵은[굴근] 예시) 밧줄이 굵어 | 굵다[국따] / 굵지[국찌] / 굵습니다[국씀니다] 예시) 나무가 굵다 | 굵고[굴꼬] / 굵게[굴께] 예시) 굵게 줄을 그어요 | |
ㄵ | 앉- | 앉아[안자] / 앉으면[안즈면] / 앉았어[안잗써] 예시) 붙여 앉아요 / 앉아 있습니다 | 앉다[안따] / 앉고[안꼬] / 앉게 [ 안께] / 앉지[안찌] / 앉히다[안치다] 예시) 의자에 앉다 / 바른 자세로 앉게 하려면 | – |
얹- | 얹어[언저] / 얹은[언즌] 예시) 이마에 손을 얹어 | 얹다[언따] / 얹고[언꼬] /얹지[언찌] 예시) 상자를 얹다 | – | |
ㅀ | 싫- | 싫어[시러] / 싫은[시른] / 싫었지만[시럳찌만] 예시) 책 읽기가 싫었지만 | 싫다[실타] / 싫고[실코] / 싫거든[실커든] / 싫겠어요[실켇써요] 예시) 토마토가 싫다고 하고 | – |
잃- | 잃어[이러] / 잃은[이른] / 잃을[이를] / 잃어버린[이러버린] 얇 예시) 잃을 수는 없습니다 / 길을 잃어버린 | 잃다[일타] / 잃고[일코] / 잃게[일케] / 잃지[일치] 예시) 가방을 잃고 | – | |
옳- | 옳아[오라] / 옳은[오른] 예시) 옳아, 저것이 신기한 맷돌이로구나(감탄사) / 네 말이 옳아(형용사) | 옳다[올타] / 옳고[올코] / 옳게 [ 올케] / 옳지[올치] 예시) 옳지, 맞았어 | – | |
뚫- | 뚫어[뚜러] / 뚫은[뚜른] 예시) 구멍을 뚫어 | 뚫다[뚤타] / 뚫고[뚤코] / 뚫린[뚤린] 예시) 땅속으로 뚫린 굴 / 회오리바람을 뚫고 끝까지 날아올랐어요 | – | |
끓- | 끓이다[끄리다] / 끓여[끄려] / 끓인[끄린] / 끓이면서[끄리면서] 예시) 물을 끓이다 / 팥죽을 팔팔 끓이면서 | 끓다[끌타] / 끓고[끌코] / 끓겠다[끌켇따] 예시) 물이 끓다 | – | |
ㄼ *예외) 넓둥글다, 넓죽하다, ‘밟-’+자음이 올 때는 뒷자음인 ‘ㅂ’으로 발음함 | 넓- | 넒어[널버] / 넓은[널븐] 예시) 넓은 바다 | 넓다[널따] / 넓고[널꼬] / 넓게[널께] 예시) 운동장이 넓다 / 넓고 푸른 초원 | 넓’으로 시작하는 파생어, 합성어 넓둥글다[넙뚱글다] 넓적하다[넙쩌카다] 등 예시) 넓죽한 얼굴 |
짧- | 짧아[짤바] / 짧은[짤븐] / 짧아진다[짤바진다] 예시) 짧은 문장 / 피노키오의 코가 다시 짧아진다 | 짧다[짤따] / 짧고[짤꼬] / 짧게[짤께] 예시) 연필이 짧다 | – | |
덟 | 여덟이[여덜이] / 여덟은[여더른] / 여덟에서[여더레서] 예시) 여덟은 팔(8)이야 | 여덟[여덜] / 여덟개[여덜개] 예시) 풍선 여덟개 | – | |
밟- | 밟아[발바] / 밟은[발븐] / 밟을까[발블까] 예시) 꾹 밟아 놓았어요 / 꽃을 밟을까 봐 조마조마해요 | – | *’밟-‘뒤 자음이 오면 [밥]으로 발음함 밟다[밥따] / 밟고[밥꼬] / 밟게[밥께] / 밟지[밥찌] / 밟는[밤는] | |
얇- | 얇아[얄바] / 얇은[얄븐] 예시) 얇은 종이 | 얇다[얄따] / 얇고[얄꼬] / 얇게[얄께] 예시) 책이 얇다 | – | |
ㄻ | 삶- | 삶아[살마] / 삶은[살믄] 예시) 삶은 달걀 | 삶다[삼따] / 삶고[삼꼬] 예시) 달걀을 삶다 | – |
젊- | 젊어[절머] / 젊은[절믄] / 젊은이[절므니] 예시) 젊은 청년으로 변했습니다 | 젊다[점따] / 젊고[점꼬] / 젊게[점께] 예시) 젊고 건강했다 | – | |
옮- | 옮아[올마] / 옮았어요[몰맏써요] 예시) 병이 옮았어요 | 옮다[옴따] / 옮기다[옴기다] / 옮길[옴길] 예시) 상자를 옮기다 / 옮길 수 있다 / 병이 옮다 | – | |
닮- | 닮았다[달맏따] / 닮았고[달맏꼬] 예시) 둘이 닮았다 / 눈은 코뿔소를 닮았고 | 닮다[담따] / 닮고[담꼬] 예시) 엄마와 닮다 | – | |
굶- | 굶어[굴머] / 굶은[굴믄] / 굶었어[굴먿써] 굶었지만[굴먿찌만] 예시) 밥을 굶었어 | 굶다[굼따] / 굶고[굼꼬] / 굶는[굼는] 예시) 굶는 사람이 많았어 | – | |
-듦 | – | 만듦[만듬] 예시) 그물처럼 엮어서 만듦 | – | |
ㄳ | 몫 | 몫이(목씨) / 몫은[목쓴] 예시) 몫이 있어? | 몫(목) / 몫까지(목까지) 예시) 내 몫까지 가져 | – |
삯 | 삯이(삭씨) / 삯을(삭쓸) 예시) 삯을 주었다 | 삯(삭) / 삯바느질(삭빠느질) 예시) 삯바느질을 했어요 | – | |
ㄾ | 핥 | 핥아[할타] / 핥아먹다[할타먹따] 예시) 혀로 핥아 | 핥다[할따] / 핥고[할꼬] 예시) 우유를 핥다 | – |
ㄿ | 읊 | 읊어[을퍼] 예시) 슬픈 목소리로 읊어 | 읊다[읍따] 예시) 시를 읊다 | – |
ㄽ | 곬 | 곬이[골씨] 예시) 곬이 잡히다 | 곬(골) 예시) 물고기 곬 | – |
Photo by Jørgen Håland on Unsplash
Original content by 소중한글